이 페이지는 AI가 더 정확하고 유용한 답변을 생성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기법을 다룹니다.
6. 단계별 지시 (Step-by-step Instructions)
복잡한 작업을 AI에게 요청할 때는 전체 작업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순서대로 지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각 단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AI가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합니다.
예시:
"다음 단계를 따라 기사를 작성해줘: 1.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한 서론을 100단어로 작성. 2. 기후 변화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200단어로 설명. 3. 기후 변화에 대한 해결책 3가지를 150단어로 요약. 4. 결론을 50단어로 작성."
7. 예시 제공 (Few-shot Prompting)
AI에게 작업 예시(input-output 쌍)를 제공하면, AI가 원하는 출력 형식을 더 잘 이해하고 모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 스타일이나 복잡한 구조를 요청할 때 유용합니다.
예시:
"다음과 같이 요약해줘: 원본: '고양이는 작고 털이 많은 포유동물이다. 주로 밤에 활동하며 사냥을 잘한다.' 요약: '고양이는 밤에 사냥하는 작은 털복숭이 포유동물.' 원본: '인공지능은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요약: "
8. 긍정적 지시 (Positive Instructions vs. Negative Instructions)
AI에게 '무엇을 하지 마라'고 지시하기보다는 '무엇을 해라'는 긍정적인 지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입니다. AI는 긍정적인 지시를 더 명확하게 처리합니다.
예시:
나쁜 프롬프트: "불필요한 서론 없이 본론만 말해줘." (부정적) 개선된 프롬프트: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설명해줘." (긍정적)
9. 출력 형식 지정 (Specifying Output Format)
AI에게 답변의 특정 출력 형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 목록, 표, JSON, 코드, 특정 글자 수). 이는 AI의 답변을 후속 작업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
"다음 정보를 JSON 형식으로 출력해줘: 이름: 홍길동, 나이: 30, 직업: 개발자" "다음 단어들을 불릿 포인트 목록으로 나열해줘: 사과, 바나나, 체리" "테이블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줘: (데이터 제공)"
10. 페르소나 설정 (Persona Setting)
AI에게 특정 인물이나 대상의 관점에서 답변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답변의 어조와 내용이 특정 청중에게 더 적합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페이지 1의 '역할 부여'와 유사하지만, 여기서는 '대상'의 페르소나에 초점).
예시:
"5살 아이에게 지구 온난화에 대해 설명하듯이 이야기해줘." "최신 기술 트렌드를 잘 아는 실리콘밸리 엔지니어처럼 AI의 미래에 대해 예측해줘."